top of page

도 성 욱   이 영 지   진    영

2020-4_edited.jpg

​이영지

이영지 작가의 화면은 늘 사랑이라는 인간의 추상적인 감정을 작가의 위트와 톡톡 튀는 솔직한 화법으로 언제나 우리에게 친숙하게 다가온다. 그 친숙함은 화면에 담긴 긍정적이고 따듯한 사랑의 메시지와 함께 자연 친화적인 공간에서 느낄 수 있는 편안함이 한데 어우러져 더욱 친근하고 정겹게 다가온다.

작가 이영지는 자아의 모습을 그의 화폭 속에 상징적으로 등장하는 나무를 대변하여 표현하고 있다. 나무의 작업성에서도 엿볼 수 있듯 처음부터 우뚝 선 풍성한 나무로 서 있었던 것이 아닌 싹을 틔우고 이파리 하나하나가 피어오르며 무성해져 든든한 나무가 되어있는 자신을 표현한 것이다. 그것은 어쩌면 우리의 인생 과정을 보여주는 것 같다. 거기에 그 나무를 찾아와준 ‘새’들의 모습은 인생을 살아가며 맺은 인연을 이야기한다. 나와 바깥 세계와의 관계 속에서 사랑을 노래하기도, 희로애락이 담긴 인생이야기를 속삭인다.

2020-4.jpg

진영

진영 작가는 전공인 한국화를 베이스로 깊이 있는 색감과 함께 의인화 된 ‘앵무새’의 모습을 통해 현대인들의 ‘반복하는 특성’과 타인을 ‘모방하고 따라하는 모습’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. 우리들은 의식하던 무의식중이던, 내가 아닌 타인에게 인정받고 그 속에 동화되어 남과 다르지 않게 보이기 위한 모양새를 취하며 살아가고 있다. 천편일률적으로 보이는 작품 속 앵무새들은 이러한 현실을 잘 보여준다. 현대인들이 시시각각 끊임없이 매체로 전달되는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, 남들이 하는 대로 큰 거부감 없이 따라하고 사유하고 행동함을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다.

 

작가는 도시생활에서 공원이라는 제한적인 자연의 영역을 아파트 숲으로 이루어진 삭막한 도시에서 그나마 정신적, 육체적인 휴식의 공간으로 설정한다. 작품 속 작은 ‘앵무새 사람’들은 공원에서 자전거를 타거나, 커피를 마시며 책을 읽는 등 각자의 방식으로 휴식을 취하고 있다. 어떤 앵무새 사람들은 손전등을 비추며 중요한 것을 찾는 듯하다. 하지만 아무도 그 공간을 벗어나기 위해 노력하는 앵무새는 없다. 이처럼 작품 속 앵무새 사람이 있는 ‘구역이 정해진 작은 숲’은 현대인들의 지친 일상에서 위로와 같은 존재인 동시에, 더 이상 벗어날 수 없는 유한한 공간이 된다.

2020-4_edited.jpg

도성욱

도성욱은 숲을 그리는 작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. 그의 그림에는 수많은 나무들이 사실적으로 잘 묘사되어 있어, 그림을 마주하는 사람은 마치 자신이 숲 속의 어느 한적한 길을 걷고 있다는 착각마저 들곤 한다. 하지만 미술 전문가들은 도성욱을 두고 숲을 그리는 작가라고 말하지 않는다. 그들은 그를 빛, 공기, 온도, 습도 등 비물질적인 것을 묘사하는 작가라고 말한다. 실제로 그의 그림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숲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요소인 나무는 화면의 바깥쪽에 자리하고, 빛, 공기, 안개 등 비물질적인 요소가 그림의 정중앙에 위치하는 걸 볼 수 있다, 그가 제작하는 작품의 제목은 <Condition – Light>이다. 작가 스스로가 그림의 ‘조건’으로 ‘빛’을 산정하는 것이다. 우리가 숲이라 했을 때 떠오르는 이미지는 단지 무수한 나무들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. 작가가 그려내듯, 빛과 공기, 온도, 습도 등 이 모든 것들이 어우러져 숲이라는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것이다. 우리가 그의 그림을 마주하며 마치 숲 속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을 하는 이유도 그가 그림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 물리적인 형태가 아닌 비물질적인 것들로 구성된 어떤 분위기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.

bottom of page